1. 개념
정보원이란 ? 무엇일까 한마디로 조종관(handler)의 조종과 통제를 받고 어떠한 임무를 수행하는 대리인 즉 agent라 일컫는다.
이러한 정보원의 기능에는 조직의 특성에 따라, 혹은 주어진 임무수행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정보원형태가 존재가능하다.
2. 정보원의 자격조건
가. 수행해야할 역할에 대한 전문성
나. 보안성
다. 인내성
라. 판단력
마. 민첩성
바. 모험심
사. 사명감
이렇듯 정보원은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면모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자격조건들은 자질보다는 기질이 있어야함을 강조하고 싶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원을 다루어야 할 우리의 정보기관을 대표하는 국가정보원이 오늘날 전세계에서 가장 낙후된 인간정보(humint)조직으로 평가 받고 있는데에는 큰의미가있다. 즉
이러한 기질은 학력으로 평가할수 없는 무형의 전력으로서 이른바 sky대로 불리는 엘리트 출신들로 채워지는 국정원의 채용개념은 우리의 정보력을 낙후시키는 가장우려스러운 인재채용 시스템인것이다. 오늘날 국정원이나 군첩보기관의 요원들은 일반 공무원들과 다를바 없는 일과표를 준수하며 퇴근시간이 되면 뒤도 돌아보지 않고 퇴근하며 자신의 권리나 요구 주장에 민감하다. 이러한 정보원들의 변질은 국가 정보력에 엄청한 타격을 가하고 있다. 즉 사명감없이 일반 공무원화가된 정보력은 그야말로 비전투손실이며 국가 예산낭비인것이다.
3. 정보원 양성
1명의 정보원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수년간의 이론과 실습, 체험을 통해 탄생할수 있다. 이러한 양성기간은 기본적인 임무수행을 위한 기본 자질을 구비할 기회이며 양성기간중 자질이 부족하여 탈락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만큼 1명의 정보원을 양성하는 것은 시간, 예산, 노력등 엄청난 재원이 소요되는 것이다.
4. 실무적용
오늘날 일명 흥신소, 심부름센터, 사설탐정, 컨설팅으로 불리는 단위별 수집 정보단위들은 자체적인 정보원을 보유하고 있다.
수행해야할 업무성격에 따라 수명내지 단독활동의 형태가 존재하며, 때에 따라서는 case by case 상황에 따라 필요인원을 섭외하여 쓰는 경우도 있다. 이는 그만큼 인건비의 소요가 크기때문이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작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다. 인원을 채용하여 사용할 경우 보안에 취약하며 교육과 양성에 투자해야할 시간과 노력, 스트레스등 오히려 더많은 장애요소가 작용할수도 있다. 따라서 다소 시간은 소요되더라도 사전연구, 사전정찰를 통해 임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인력보다는 첨단장비를 구비하는것이 투자의 가치가 있을것이다. 이렇듯 인력의 고용은 보안문제, 장기재직여부, 기질문제, 사명감등 다양한 고려요소와 충돌할수가 있는 것이다.
'국내`외 사실조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킹 대항 (0) | 2024.05.20 |
---|---|
사실조사 범주 (0) | 2014.07.18 |
사실조사 업무의 법적근거 (0) | 2013.08.05 |
탐정의 기능과 행정사의 사실조사 기능 (0) | 2013.07.14 |
심부름센터와 전문가의 사실조사 (0) | 2013.07.10 |